창체와 세특을 기록하는 방법
학종 완벽대비 창세기
개요
-
▢ 학생부종합전형은 입학사정관 등이 참여하여 학생부를 중심으로 자기소개서, 추천서, 면접 등을 통해 지원자의 학업역량과 전공적합성, 인성, 발전가능성 등을 종합적으로 정성 평가함.
▢ 학생이 고교 재학 기간 중 학교생활을 통해 어떻게 학업역량과 활동역량 등을 발전시켜왔는지를 대학별 평가 항목에 따라 종합적으로 평가함.
▢ 학생부종합전형 서류 중 가장 기본이 되는 학교생활기록부는 지원자가 어떻게 학교생활을 했는지를 확인할 수 있는 가장 공식적인 자료로 서류평가에서 가장 중요한 자료임.

목적 및 필요성
-
▢ 학생부종합전형은 잘 시행만 된다면 교실을 정상화하고 미래 시대에 걸맞은 인재를 선발하는 좋은 도구가 될 수 있음.
▢ 학생부종합전형의 학생선발에 대한 인식의 차이에서 교사는 73.3%가 긍정적으로 보고 있으며, 학생 및 학부모는 74.8%가 불공정하다는 인식이 강함.
- [표1] 학생부종합전형에 대한 인식차이
-
▢ 이러한 결과는 학생부종합전형의 이해부족으로 학생 및 학부모가 준비방법을 모르기 때문임(표1 참고).
▢ 따라서 학생부종합전형에 대한 이해와 빠른 진로 및 학과 결정과 그에 따른학교생활기록부 기록을 위한 활동을 교육할 필요가 있음.
-
집단 작성 경험 있음 작성 경험 없음 합계 집단 간 차이 전체 2,336(34.3) 4,483(65.7) 6,819(100.0) 학교 구분 연구학교 846(41.6) 1,187(58.4) 2,033(100.0) 𝒳²=83.862
df=2
p=.000***학교 구분 선도학교 768(33.9) 1,500(66.1) 2,268(100.0) 𝒳²=83.862
df=2
p=.000***학교 구분 일반학교 722(28.7) 1,796(71.3) 2,518(100.0) 𝒳²=83.862
df=2
p=.000***학교 소재지 특별·광역시 832(34.5) 1,581(65.5) 2,413(100.0) 𝒳²=0.813
df=2
p=.666학교 소재지 중소도시 1,131(33.8) 2,216(66.2) 3,347(100.0) 𝒳²=0.813
df=2
p=.666학교 소재지 읍면지역 373(35.2) 686(64.8) 1,059(100.0) 𝒳²=0.813
df=2
p=.666학교 규모 대규모 1,737(33.9) 3,383(66.1) 5,120(100.0) 𝒳²=6.442
df=2
p=.040*학교 규모 중규모 560(36.1) 992(63.9) 1,552(100.0) 𝒳²=6.442
df=2
p=.040*학교 규모 소규모 39(26.5) 108(73.5) 147(100.0) 𝒳²=6.442
df=2
p=.040* - [표2] 학업계획서 작성여부
-
▢ 진로를 결정한 학생도 구체적인 학업계획서를 작성해본 경험이 없는 학생이 65.7%에 이름(표2 참고)
▢ 따라서 수시준비에 따른 구체적인 학업계획서 작성이 필요함.
교육과정
-
세부내용
교시 주제 내용 비고 1교시 진로결정의 중요성 ● 진로결정수준으로 결정능력의 중요성 알기
- 진로결정 미성숙형/불일치형/2,019
● 진로결정유형검사를 통해 최적의 결정방법 선택하기
- 합리적유형/직관적유형/의존적유형진로의사 결정검사 실시 2교시 직업 및 학과 결정하기 ● 문이과 통합에 속지 않기
● 대입합격을 위한 진로결정 매트릭스
- 계획실천형/동기촉진형
- 학과목표수립형/직업목표수립형진로결정 매트릭스 3교시 학생부종합전형과 학교생활의 Key ● 학생부종합전형의 핵심
● 발전인학 4가지 핵심역량이 합격을 좌우한다
● 선생님과 소통하는 학교생활
● 1등급을 뛰어넘는 학생부를 위한 수업참여방법주제탐구 보고서 4교시 고교학점제에 따른 유/불리 과목선택 ● 2015 개정 교육과정
● 학과별 과목 선택이 중요한 이유
● 선택과목 고르는 법과목결정 5교시 창의적 체험활동 기록하는 법 ● 창체활동 기록하는 법
- 자율활동
- 동아리활동
- 봉사활동
- 진로활동사례를 통한 기록비법 전수(창체) 6교시 세부능력 및 특기사항 기록하는 법 ● 세특 기록하는 법
- 과목별 학과 및 진로와 연결하는 법
- 독서활동을 연결하는 법
- 탐구보고서를 연결하는 법사례를 통한 기록 비법전수(세특) 7교시 나만의 학업계획서 만들기 ● 학업계획서 작성을 통한 실행력 높이기
- 수업참여방법에 따른 기록적용법
- 학생부 3개년 연결하기학업계획서 작성
-
교육형태▢ 참여자 학생중심의 실습교육 운영(개인별과제 및 실습, 동영상, 토론, 발표, 게임 등)
▢ 교육중 적절한 개인코칭을 통하여 교육효과 극대화
▢ 구체적 교육목표 수립 및 단계별 교육진행
-
교육특징▢ 학생부 작성 및 학업계획서를 실제 작성하는 체험형 글쓰기 교육
▢ 진로의사결정검사를 통해 자신의 결정유형 이해
▢ 합리적 유형, 직관적 유형, 의존적 유형을 구분하여 3가지 유형의 학생 모두를 만족시키는 세밀한 교육내용
▢ 학과별/직업별 관련직업탐색으로 진로확장성 극대화
-
기대효과▢ 합리적인 진로의사결정 능력 향상
▢ 진로에 대한 이해의 폭을 넓혀 스스로 자신의 진로방향 설정
▢ 자신의 진로의사결정유형에 따른 선택기술 습득
▢ 수시입학전형을 이해하고 학교생활 및 활동의 적극적 참여 유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