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과목 선택" 전략과
생기부 경쟁력 향상 캠프
생기부 경쟁력 향상 캠프
학생주도성 · 협력적주체성 · 변혁적 역량
-
교육 목표▢ 고교학점제의 교육과정 편제표에 대해 정확한 이해를 바탕으로 주어진 교육과정을 수동적으로 따라가는 존재가 아닌 자신에게 필요한 수업을 스스로 선택하고 자신의 진로를 개척해나가는 자기주도적인 존재로 변화하도록 지도한다.
-
교육 방향 및 내용 구성가. 고교학점제 교육과정 편제표(학년별)를 이해하고, 개별 고등학교가 제공하는 다양한 교육프로그램을 개인의 진로와 연결하여 활용하는 실제적인 방법을 습득할 수 있도록 지도한다.
나. 진로 및 학업설계 지도 - 개별 학생들의 과목 선택과 진로 탐색을 연계하여 체계적인 진로·학업설계 및 개인별 교육과정을 작성할 수 있도록 지도한다.
다. 학업설계 주체로서의 학생 지원 - 강사가 중심이 되는 지식 전달을 넘어서서, 학생 스스로 의미 있는 지식을 모으고 진로와 학업을 디자인해 나갈 수 있는 교육체제 설계가 가능한 구체적인 방법을 제시한다.
라. 배움과 삶이 연계되는 교육, 진로와의 연계를 강조하는 교육을 통해 개개인의 의미 있는 학습경험에 초점을 맞춘다.
마. 학년별 상황과 대학입시 변화를 반영한 차별화 교육 실시로, 경주지역 중학교 3학년의 보편적 진로 진학 로드맵에 부합하는 교육 내용을 개인별 교육과정 설계와 연동하여 습득할 수 있도록 지도한다.
-
기대 효과가. 진로 기반의 과목 선택 전략을 이해하고 자신에게 적용할 수 있다.
나. 계열별 선택과목의 맥락을 이해하고 과목 선택의 기준을 확보하여 개인 교육과정을 설계할 수 있다.
다. 과목 선택 이후 학교 생활의 구체적인 전략을 교과와 교과외 활동 양 영역에서 이해, 설정할 수 있다.
라. 대입 전형의 실제적인 유불리를 개인 차원에서 이해하고 최적의 입시전략으로 연결할 수 있다.
-
프로그램 차별화 요소가. 고교학점제의 교육과정과 환경, 지역적 상황을 반영한 맞춤형 교육 프로그램
나. 학년별 특징과 상황에 맞춘 차별화 교육 요소 가미(1학년 진로 고민 및 탐색기)
다. 2022 개정 교육과정 과목 선택의 기준을 기계적 매칭이 아닌 진로를 기반으로 선택의 이유를 고민할 수 있도록 내용 구성
라. 선택만이 아닌 선택 이후의 교과와 교과외 활동 방향을 우선순위에 따라 고민하고 설계하도록 유도
마. 1학년의 경우, 대입에서의 유불리를 성적대(내신, 모의고사)와 학생부 관리 상태에 따라 현실적인 대응이 가능하도록 지도
바. 진로와 입시 경험이 풍부한 최상의 강사진 구성 – 고교학점제의 이론적 배경과 입시에서의 현실적 적용의 양방향 적용, 개인 코칭을 최대한 반영
사. 고교학점제와 교육과정 전문가의 강의안 및 교재 책임 제작과 감수, 철저한 사전 강사 교육
-
고교학점제(교과목선택)과 진로선택과목 이해와 실습 교육전체 교육 프로그램 요약
차시 주제 및 목표 세부활동 활용 자료 및 교육 방법 교육 목적 & 핵심 내용이해 1 교육과정 특징 및 고교학점제 핵심 개념 이해하기 ● 학생중심 교육과정
● 교학상장 이해와 활용 전략
● 고교학점제 핵심 내용 이해
● 계열 성향 검사 (한양대학교 전공적성나침반)● 퀴즈로 알아보는 교육과정 & 2022 개정 교육과정 과목 선택
● 고교학점제 핵심 내용 및 일반계 고등학교 교육과정 편제표 이해
● 계열성향검사 - 스마트폰 앱 혹은 교재 수록 지필검사 중 택일진로와 과목 선택 연결하기 2 나를 알아보고 나의 진로 설계하기 & 과목 이해와 선택 가이드 ● 고교학점제 운영 체계 이해
● 진로와 과목선택의 연결고리
● 과목 검색과 대학 학과 탐색 - 방법과 맥락 이해 중심● 2022 개정 교육과정 과목 선택 검색기 (엑셀 파일, 실습과 피드백)
● 교육과정 편제표 (학년별 다르게 활용)진로 기반 개인별 교육과정 설계 실습 3 나만의 교육과정 설계 – 실습과 피드백 ● 계열별 과목 선택 길라잡이
● 공동교육과정 활용 전략
● 개인별 교육과정 설계 실습 (개인 코칭과 피드백)● 진로선택과목, 선택의 현실과 조건
● 공동교육과정 이해와 활용 전략
● 종합적 관점에서 개인 교육과정 작성과 피드백 진행선택 이후 I 4 학생부 경쟁력 이해하기 & 적용 전략 ● 학교생활기록부 항목과 의미 (학교생활 설계와 창체활동)
● 학생부종합전형 대학의 평가 - 공통 평가요소와 세부항목● 학생부종합전형 공통 평가요소
● 학년별 학생부 기재요령과 미반영, 미기재 항목 이해와 적용
● 학생 눈높이에 맞춘 교-수-평-기
● 교과진도계획과 평가계획 한눈에 파악하기선택 이후 II 5 학업역량과 진로역량을 돋보이게 하는 주제탐구 보고서 작성법 특급 노하우 ● 학교알리미 100% 활용 전략
● 나의 학교생활 설계
● 도전! 심화학습 & 주제탐구 (절차와 방법 이해 및 실습)● 학교알리미 자료를 이용한 학교생활 설계 실습
● 교과단원 주제에서 출발하는 심화학습 (주제탐구) 핵심 노하우
● 동기-과정-기록-후속활동의 맥락 이해정리와 마무리 6 전체 교육 내용 정리와 다짐 ● 학교알리미 활용 심화학습 주제 선정 발표
● 나의 학업계획 로드맵 작성 (발표와 피드백)● 심화학습 (주제탐구) 주제선정 발표 (코칭과 피드백)
● 한 장으로 정리하는 개인별 고등학교 생활 로드맵
● 소감문 작성과 Q&A (아쉬움 털기)